조밥나물(Hieracium umbellatum L.) 생태 : 산이나 들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중앙에 달린 잎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다소 있다 꽃 : 7∼10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린다 열매 10∼11월에 결실하며 수과이다 국화과 2010.10.22
쓴풀(Swertia japonica (Schult.) Griseb.) 생태 : 산이나 들에 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없고,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 : 흰색, 줄기나 가지 끝에 3-5 송이씩 달리고, 꽃자루는 없다 열매 : 삭과 피침형이다 용담과 2010.10.20
서흥구절초(Chrysanthemum zawadskii var. leiophuyllum (Nakai) T.B.Lee) 생태 : 산지에 난다 근생엽은 꽃이피면 시들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다 꽃 : 9∼11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두상화로1개씩 달린다 국화과 2010.10.20
자주쓴풀(Swertia pseudochinensis (Hara) Toyok.) 생태 :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잎은 바소꼴로 마주나고 양 끝이 날카로우며 좁다 꽃 : 9∼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위에서부터 꽃이 핀다 열매 : 삭과로서 넓은 바소꼴이며 화관 길이와 비슷하다 용담과 2010.10.20
용담(Gentiana scabra Bunge for. scabra) 생태 :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자루가 없으며 바소 모양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개의 큰 맥이 있다 꽃 : 8∼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엽맥과 끝에 달리고 포는 좁으며 바소꼴이다 열매 : 삭과로 11월에 익고 시든 화관 안에 들어 있으며 종자는 넓은 바소꼴로 양 끝에 날개가 있다 용담과 2010.10.20
흰자주쓴풀(Swertia pseudochinensis for. alba Y.N.Lee) 생태 : 자주쓴풀과 닮았으나 흰꽃이 피며 자주쓴풀이 나는 곳에 같이남 용담과 2010.10.20
감국(Dendranthema indicum (L.) DesMoul.) 생태 : 산지에 나는 다년초 잎은 호생 둥근 난형 얇고 부드러우며 보통 5갈래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음 꽃 : 두상화로 노랑색으로 산방상으로 달림 가운데는 관상화 가장자리는 설상화 국화과 2010.10.20
산부추(Allium thunbergii G.Don) 생태 : 산이나 들에나는 다년초 잎은 비스듬히 위로 뻗고 흰빛이 도는 녹색 단면은 삼각형 꽃 : 홍자색으로 10월에 핀다 백합과 2010.10.20
마키노국화(Chrysanthemum makinoi Matsum. & Nakai) 생태 : 석회암 지대에 난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넓은잎주절초 또는 재배국화와 닮았으나 약간 작음 꽃 : 10월에 흰색의 두상화서로 가장자리에 설상화가 있고 가운데 노란색 관상화가 있음 국화과 2010.10.20
정선바위솔(Orostachys chongsunensis Y.N.Lee) 생태 : 강원도 정선과 평창지방의 바위 겉에 붙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는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방석처럼 퍼지고, 끝이 굳어져서 가시처럼 된다 꽃 : 9월에 흰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린다 돌나물과 2010.10.20